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은하수 촬영 명소 TOP5 (촬영 팁, 시기 별 추천 지 포함)

by 현정's 2025. 11. 1.

은하수

국내에서도 은하수를 촬영할 수 있는 명소는 의외로 많습니다. 2025년 현재 국립천문연구원 ‘광공해지도(Light Pollution Map)’에 따르면 강원도 영월, 경남 합천, 전남 고흥, 제주도 표선, 충남 태안 등은 광해가 적고 맑은 날이 많아 국내 은하수 관측 명소 5대 지역으로 꼽힙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관측 가능 시기, 촬영 팁, 접근성, 인근 숙소 정보를 포함한 사실 기반 국내 은하수 촬영 명소 TOP5를 소개합니다.

1. 강원도 영월 — 별마로천문대와 별빛산책길

강원 영월군 봉래산 중턱에 위치한 **별마로천문대(해발 799m)**는 국내 최대 규모의 공개 천문대로, 은하수 촬영 명소 1순위로 꼽힙니다. ‘별마로’는 ‘별+마루(정상)’의 합성어로, 광공해지수 1.6 수준(2025년 기준)으로 매우 어둡습니다. 은하수는 4월~9월 사이, 밤 10시~새벽 2시 사이가 가장 선명하게 보입니다. 특히 천문대 옆 산책길(별빛산책로)에서는 남쪽 하늘 방향으로 은하수가 수평선 위로 떠오르는 장면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촬영 팁

  • 셔터속도 25초 / 조리개 F2.8 / ISO 3200~6400
  • 광해가 적은 새벽 1시~2 시대가 가장 적기
  • 삼각대 필수, 셔터 릴리즈 케이블 사용 권장

추천 숙소

  • 영월 스테이365, 동강별빛펜션 (천문대까지 차량 10분)

2. 경남 합천 — 황매산 천문전망대

합천 황매산은 해발 1,108m로, 국내에서 은하수와 야생화, 운해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는 드문 명소입니다. 특히 5월경 황매산 철쭉제 시즌에는 은하수가 산등성이 위로 걸리는 장면이 장관을 이룹니다. 합천군청 천문관광팀에 따르면 황매산 정상 일대 광공해지수는 1.8로 매우 낮으며, 평균 맑은 날 비율은 연 180일 수준입니다.

촬영 팁

  • 4~6월, 9~10월 새벽 1시~3시
  • 고도 높은 위치이므로 방풍재킷, 랜턴 필수
  • 은하수 촬영 후 합천영상테마파크 연계 추천

추천 숙소

  • 합천하늘별캠핑장, 황매산별빛글램핑

3. 전남 고흥 — 우주천문과학관 일대

고흥은 국내 유일의 우주기반 관광지로, ‘고흥우주천문과학관’과 ‘팔영산 천문전망대’가 대표 명소입니다. 이 지역은 광공해지수 1.9, 연평균 맑은 날 190일로, 은하수 관측 여건이 전국 최고 수준입니다. 천문과학관 옆 주차장과 옥상 전망대에서 남쪽 은하수를 볼 수 있으며, 7~8월 장마철 전후가 촬영의 최적기입니다. 특히 남십자성과 은하 중심부가 뚜렷하게 관측됩니다.

촬영 팁

  • 14mm 광각렌즈 / ISO 6400 / 셔터 20초
  • 7월 말~8월 초 새벽 2 시대 추천
  • 은하 중심(궁수자리 방향)을 기준으로 삼으면 구도 확보 용이

추천 숙소

  • 고흥우주캠핑파크, 팔영산자연휴양림

4. 충남 태안 — 안면도 꽃지해변 일대

서해안에서도 은하수를 볼 수 있는 대표 명소가 태안 안면도입니다. 특히 꽃지해변 할미·할아비 바위 포인트는 일몰 후 은하수가 수평선 위로 떠오르는 모습으로 유명합니다. 2024년 한국관광공사 ‘은하수 사진 명소 20선’에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태안군은 2023년부터 야간조명을 제한하는 ‘별빛보호구역’을 시범 운영 중이며, 이에 따라 밤하늘 관측 환경이 개선되었습니다.

촬영 팁

  • 서쪽 하늘보다 남남서 방향으로 촬영
  • 일몰 직후부터 새벽 1시 이전이 가장 선명
  • 삼각대와 ND필터 사용 시 색감 조정 효과 우수

추천 숙소

  • 안면도펜션365, 꽃지별빛리조트

5. 제주도 표선 — 남부 해안의 은하수 포인트

제주는 위도가 낮아 은하수 중심부가 특히 선명하게 보이는 지역입니다. 그중 표선해변~남원해안도로 구간은 광공해가 거의 없고, 하늘이 넓게 트여 있어 촬영 명소로 각광받습니다. 제주도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1년 중 6월~9월, 평균 맑은 날은 20일 이상으로 국내 은하수 촬영 확률이 가장 높은 지역입니다.

촬영 팁

  • 남쪽 하늘 방향 확보 / 삼각대 + 광각렌즈 필수
  • 바람이 강한 날은 차량 뒤쪽에서 바람막이 역할 필요
  • 은하수 중심좌표(궁수자리) 기준으로 구도 잡기

추천 숙소

  • 제주별빛펜션, 표선비치하우스, 해비치호텔 앤 리조트

은하수를 보려면 해외로 나가야 한다는 인식은 이제 옛말입니다. 영월의 산정, 합천의 능선, 고흥의 남쪽 하늘, 태안의 서해안, 제주도의 해안까지 국내에서도 다양한 지형과 기상 조건에서 은하수와 별빛을 동시에 담을 수 있는 명소들이 존재합니다. 2025년 현재, 한국천문연구원은 전국 25개 지자체에 ‘광해저감지구’ 지정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 별사진 및 은하수 촬영 환경은 점차 좋아지고 있습니다. 이제 삼각대와 카메라, 그리고 맑은 하늘만 있다면 한국에서도 충분히 환상적인 은하수 여행을 즐길 수 있습니다.